그라파나에서 텔레그램으로 알람받기
그라파나에 구성한 대시보드 패널에 알람 규칙을 추가하여 텔레그램으로 알람 받기"
디서치 관리도구 사용법 #14 - 파이프라인
안녕하세요. 이번 포스팅 내용은 다나와에서 개발한 디서치 관리도구(엘라스틱서치 관리도구)에서 파이프라인 메뉴에 대해 소개하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.
도커 컴포즈 가이드라인
도커 컴포즈를 사용할 때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작성하여 공유 합니다.
도커 파일 가이드라인
도커 파일을 생성함에 있어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작성하여 공유를 합니다.
서비스 운영플랫폼 #5 - 홈
서비스 운영플랫폼의 홈메뉴는 시스템의 요약정보와 소속된 그룹의 정보를 표시합니다.
서비스 운영플랫폼 #4 - 그룹
서비스 운영플랫폼의 그룹은 서비스를 묶은 개념입니다. 그룹을 생성하고, 서버, 서비스를 추가하여 사용자한테 관리 역할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.
서비스 운영플랫폼 #1 - 소개
서비스 운영플랫폼을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. 서비스 운영플랫폼은 도커 컴포즈 또는 프로세스를 cli 환경이 아닌 웹UI를 통해 관리할 수 있습니다.
서비스 운영플랫폼 - 설치
서비스 운영플랫폼 설치는 두가지 방식으로 실행가능합니다. 하나는 도커 컨테이너에 실행하거나 호스트에 직접 실행하는 방법입니다. 두 가지 실행방법을 정리해보았습니다.
디서치 관리도구 사용법 #11 - 서버
안녕하세요. 이번 포스팅 내용은 다나와에서 개발한 디서치 관리도구(엘라스틱서치 관리도구)에서 서버메뉴에 대해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.
디서치 관리도구 사용법 #10 - 래퍼런스UI
안녕하세요. 이번 포스팅 내용은 다나와에서 개발한 디서치 관리도구(엘라스틱서치 관리도구)에서 레퍼런스UI 메뉴에 대해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.
디서치 관리도구 사용법 #9 - JDBC
이번 포스팅 내용은 다나와에서 개발한 디서치 관리도구(엘라스틱서치 관리도구)에서 JDBC 메뉴에 대해 소개하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.
디서치 관리도구 사용법 #1 - 소개
디서치 관리도구 사용법에 대해 전체적으로 메뉴를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.
다나와 검색API 개발을 위한 ElasticSearch - GoClient 선택하기
다나와 검색API를 ElasticSearch로 적용하기 위해 적합한 Client를 찾는다.
엘라스틱서치 인덱스와 샤드 분할
엘라스틱서치의 인덱스와 샤드를 어떻게 나누었는지 그 경험을 나누겠습니다
Scouter Server Plugin를 통한 Xlog 수집
Scouter Server Plugin으로 Scouter Server의 Xlog 정보를 수집하고 구글 시트로 작성하기
Knative 사용을 위한 비교 테스트
Knative와 Ingress+Deployment, Kubeless 비교
dnsmasq와 K8S 적용 사례
이번에 포스팅 내용은 k8s에서 생성된 컨테이너의 호스트파일을 다룰때 불편함과 깃랩의 CI/CD 사용시 POD의 호스트 정보를 변경할때 이슈가 있어 해결 사례를 공유합니다.
도커 컴포즈를 이용한 프로메테우스 설치
도커 컴포즈로 프로메테우스 및 UI 대시보드인 그라파나 설치
GitLab CI/CD 사용하기
GitLab에서 제공하는 Runner를 사용하여 저장소에 Push를 하게 되면 자동으로 프로젝트를 빌드, 배포하는 과정을 포스팅하였습니다.
2020년 Vue.js UI 컴포넌트 라이브러리 종류
프론트 개발의 비용을 줄여줄 수 있는 UI 컴포넌트 라이브러리, Vue.js에는 어떤게 있을까요?